안녕하세요. 창원 호랑이의 시선입니다. 🐯
경상도가 고향이라 쭉 태어나고 자랐지만, 창원 외에 살았던지라 창원에 대해선 잘 몰랐지만,
결혼과 직장 덕에 다시 창원 시민으로 거듭난 제가 호랑이의 시선으로 창원시 정보를 알려드리고자 이렇게 달려왔습니다.

임티는 왜 호랑이가 없는가...?
오늘의 정보는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대출이자 지원사업' 입니다.
창원시에서도 제가 본 시선으론 거주가 참, 신경 안 쓸 수 없는 부분입니다.
제 개인적으론 창원시 부동산 가격은 너무 ㅠㅠ
저는 결혼해서 어렵게 어렵게 마련했습니다만, 마련하기 전까지 아내와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었습니다.
희망과 현실은 다르니까요.

지금 제가 글을 적고 있는 곳도 은행....의 것이니까요.
이제 정보를 알아보고 창원시에서 주는 혜택을 알아볼까요?

사업 기간 및 대상
- 접수 기간: 2025년 7월 10일(목) ~ 8월 8일(금), 주말 및 공휴일 제외
- 대상: 2025년 7월 1일 기준, 창원시에 주민등록된 만 19~39세 이하 무주택 청년(세대주 포함)
- 주택 요건: 전용면적 85㎡ 이하, 보증금 3억 원 이하 주택 거주
- 소득 기준
- 대학(원)생 등은 부모 합산 소득 1억 원 이하
- 직장인·사업자는 본인 소득 5,000만 원 이하
- 청년 부부는 합산 연소득 1억 원 이하
지금 글을 작성하는 날짜가 6월 14일인 중순인데, 남은 기간은 약 보름 정도 남았네요. 중요 포인트는 무주택인데, 소득 기준이 참…. 애매하긴 하네요. 제 입장에선 아쉽긴 합니다. 연봉과 가족 소득은 개인사가 다 다르므로 날짜와 자격조건 확인 꼭 하세요.

지원 내용
- 보증금 대출 잔액 5,000만 원 한도, 연 3% 이자 내 최대 150만 원 지원
- 예: 보증금 대출 5,000만 원이라면 최대 150만 원, 대출 3,000만 원 → 최대 90만 원 지원 가능
지원 금액은 생각보다 작군요. 1억까지는 해주면 좋겠는데 말이죠.
창원시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지 않으니....
열심히 돈 벌고 모아야겠습니다. 🤑💵
신청 방법
- 온라인: 경남바로서비스
- 오프라인: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 지원금 지급 시기: 심사 후 10월 말까지 지급 예정
창원시와 인접한 김해시와 창원 내의 마산, 진해, 북면에도 많이들 거주하시니 항상 비교 안될 수 없죠.
저도 많은 고민을 했답니다.
간략하게 비교한 표를 준비했습니다.
창원 vs 다른 시·도 비교
지원 금액 | 연 최대 150만 원 (5,000만 원 한도, 3%) |
대부분 연 100만 원 내외 | 서울 시·도, 지자체별 상이, 일부는 연 120만~200만 원 |
소득 기준 | 본인 5,000만 원 이하 | 비슷 또는 약간 완화 | 다양, 서울은 일부 구 6,000만 원 이하 |
대상 면적·보증금 | 85㎡ 이하, 보증금 3억 이하 | 보편적 기준 | 경쟁 시 보증금 2억~5억 이하 |
신청 편리성 | 온라인/방문 동시 가능 | 일부 시군은 방문만 가능 | 대부분 온라인 중심 |
창원시는 연 최대 150만 원 지원으로 금액 면에서 경남 내에서는 우수한 편이며,
타 광역시에 비해 소득·주택 기준도 무난하네요.
신청 방식은 다들 비슷한 수준이고, 창원시가 엄청난 혜택을 주는 것 같진 않습니다만 그래도 쭉 살아가야 하니
인구 유입 측면에선 조금 나은 게 현실입니다.

회사에서 기숙사를 제공해준다면 결혼전까지 버틸 수 있지만 대기업, 중견기업이 아닌 이상 어렵겠죠.
그래도 회사 생활 하면서 가까운 곳 또는 독립적인 생활을 해야하니 창원시 내에 청년주택 정보도 알아보겠습니다.
창원시 내 청년주택 정보
1. 창원명곡 A‑2BL 행복주택
- 위치: 의창구 명곡지구로 35 (명곡동)
- 전용면적: 21.98㎡ ~ 44.94㎡
- 청년·대학생용은 21.98㎡, 26.52㎡
- 총 308세대 (청년용 포함)
- 월 임대료 예시:
- 21A형(21.98㎡): 월 90,000원대
- 입주 예정: 2025년 4월, 입주 가능 시점은 7월(예정)
위치는 창원, 마산 공단 또는 김해 공단 가기에 나쁘지 않습니다.

2. 기타 공공임대(영구임대 등)
- 마산중리1 영구임대주택:
- 전용면적: 약 26㎡
- 월 임대료: 약 46,850원
- 대출이자 지원 대상 주택: 행복주택, 전세·월세형 주택 포함 가능
마산 중리 공단가기엔 딱이군요.
오히려 여기가 더 가깝고 차도 안막힐 듯합니다.
고성쪽으로도 갈 수 있고, 요즘은 통영도 출퇴근 하시는 분들이 계시는 듯 하니

마무리 요약 해보겠습니다.
- 신청 기간: 7월 10일~8월 8일 (주말/공휴일 제외)
- 지원 한도: 보증금 대출 5,000만 원까지, 연 최대 150만 원
- 대상 조건:
- 만 19~39세(2025.7.1 기준) 창원시 세대주
- 전용 85㎡ 이하, 보증금 3억 이하 주택
- 소득 기준 본인·부모·부부 모두 해당해야 함
- 주택 혜택:
- 창원명곡 A‑2BL 행복주택: 21–26㎡, 월세 9만 원대
- 마산중리1 영구임대: 26㎡, 월세 약 4만6천 원
- 타 지역 대비: 경남에서 최상위 금액, 서울보다 소득·주택 기준 접근성 좋음
- 신청 방법: 온라인/오프라인 병행, 경남바로서비스 또는 행정복지센터 방문
📌 창원시는 금액·자격·신청환경 등 모든 면에서 청년 주거 지원에 있어 경쟁력 높은 지역입니다.
관련된 사항은 창원시청 홈페이지(주택정책과 공고) 및 경남바로서비스에서 7~8월에 꼭 확인하세요!
오늘은 '창원시 청년 주거 지원 정책사업'을 알아봤습니다.
쉽지 않은 내집마련, 창원시 말고도 다들 비슷하겠죠. 다들 본업에 충실하면서 행복한 날이 되도록!
모두의 내집마련을 응원합니다.

'지원정책사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시] 2025년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활동비 지원 (2차) (0) | 2025.06.30 |
---|---|
무료 심리·노무 상담 운영! 창원맘커뮤니티센터 『상담 상시운영』 안내 (5) | 2025.06.18 |
어르신 “버스 타면 차비 돌려받아요!” 꼭 사용하세요! (2) | 2025.06.16 |
시내버스 타는 재미 ‘경남패스’로 현금 환급 받으세요! (6) | 2025.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