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 타는 재미 ‘경남패스’로 현금 환급 받으세요!
안녕하세요. 창원 호랑이의 시선입니다. 🐯
요즘 세계 정세가 조용할 날이 없죠. 그 중에 이란 vs 이스라엘엘 전쟁으로 유가가 상승할 거라는 뉴스를 자주 보셨을 텐데요.
미국도 합세한 상황이 급박하게 치닫고 있으니, 국내 영향을 또 생각 안 할 수수 없네요.
출퇴근 말고도 가족들과 연인과 친구들과 여행 및 나들이 시즌과 여름휴가 시즌에
교통비인 기름값 걱정이 부담될 수 밖에 없는데요.
그래서 오늘알게 된 K-패스와 경남패스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남 일 잘한다!
🚍 경남패스란?
경남패스는 국토교통부의 K-패스 기반으로 경상남도가 자체 예산을 추가해 운영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제도예요.
- 이용 대상: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도민
- 지원 범위: 시내버스, 농어촌버스, 지하철, 경전철 등
- 환급 기준: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자동 환급 발생 (※ 75세 이상은 단 1회 이용으로도 환급 가능)
요즘 운전하기 싫어서 최대한 버스 이용하려고 하는데,
S-BRT 공사 때는 불편했고 자차 이용시에는 좀 막히긴 하지만
대중교통(버스) 이용하시는 분들 또는 제가 이용해보니 훨씬 편하긴 했습니다.
월 15회는 충분히 가능해보이네요. 어르신들은 1회만으로도 환급 된다고 하니 어머니도 하나 만들어 드려야겠어요.

가입 및 이용방법
- K-패스 카드 발급
- 은행(신한, 국민, 농협, 우리, 하나, 기업 등) 방문 또는 카드사·케이뱅크·카카오뱅크 등 온라인 신청
- 경남패스 연동
- K-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거주지 지자체 ‘경남’ 설정 후 회원가입
- 대중교통 이용
- 카드로 탑승 →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자동 환급 진행
- 환급 내역 확인
-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내역 및 환급 예정 금액 확인 가능
※ 은행 발급 후 앱 사용이 어려운 고령층은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가입 도움을 받을 수 있어 편리해요.
K-패스 수령하시고 꼭 거주지 지자체 설정하셔야 합니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꼭!!

주로 이용하시는 주거래 은행 또는 카카오뱅크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저는 카카오뱅크로 신청, 계좌는 주로 쓰시는 계좌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얼만큼 환급 되는지 알아야 자주 사용하겠죠? ㅎㅎㅎ

🎁 환급 혜택 요약
대상 환급률 환급 횟수 제한
청년 (19‑34세) | 30% | 월 15회 이상 |
일반 (35‑74세) | 20% | 월 15회 이상 |
저소득층·기초수급자 | 100% | 월 15회 이상 |
고령층 (75세 이상) | 100% | 1회 이상 |
- 75세 이상 및 저소득층은 전액 환급
- 일반 이용자도 월 15회 이상 시 자동 환급 혜택 누림
저는 일반 (35-74세)인 20%!! 다들 대중교통 이용 많이해서 탄소감축도 합시다.
📊 가입자 수 및 성과
- 2025년 5월 15일 기준, 누적 가입자 약 218,000명 돌파
- 경남 시범 운영(2024년 10월) 당시 가입자 약 54,000명 → 6개월 만에 4배 이상 성장
- 성별·연령별 가입 비율
- 75세 이상 고령층: 43%
- 일반층: 29%, 청년층: 28%, 저소득층: 12%
- 1인당 월평균 환급액:
- 전체 평균 약 25,000원
- 일반층 18,000원 / 고령층 40,000원 / 저소득층 49,000원
→ 이는 K-패스 평균(일반 18,000원, 저소득 37,000원)보다 높은 수준
🔍 실제 이용자 인터뷰 사례
김형자(76, 창원 북면)
“버스 타는 재미가 있어요… 차비 환급도 받고 외출이 즐거워졌어요.”
오경빈(22, 김해 대학생)
“자동차 있어도 대중교통 이용하려고 노력해요. 기름값 아끼고 환급까지 되니 일석이조예요.”
박기정(29, 진주 직장인)
“대중교통 이용으로 친환경적인 생활을 하게 되어 기분이 좋아요.”
이외에도 청년, 직장인, 고령층 등 다양한 계층이 “차비 부담 덜고 외출이 즐거워졌다”는 긍정 반응을 보이고 있어요.
✅ 주요 장점 & 고려사항
🔹 장점
- 고령층, 저소득층에 대한 실질적인 복지 효과
-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와 교통 혼잡 완화, 탄소 저감 효과
- 전국 최초로 75세 이상 100% 환급 도입 → 타 지자체 준거모델로 주목
🔸 고려할 점
- 시외 농촌지역 등 홍보 부족으로 인지도 개선 필요
- K-패스 카드 발급률(약 96,000명)이 아직 낮아 기반 확대 과제 존재
- 부산 동백패스와의 연계·광역호환성 확대도 향후 주요 과제
음! 자료를 찾다 보니 김해시와 마산회원구 합성동을 오가는 시외버스가 있는데,
그 이용객들도 숫자가 많아서 어떻게 향후 바뀔지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어르신들에게 적극 홍보하는 방안이 또 필요하겠네요.

부산&울산&경남권역에서 다 사용하면 좋을 듯 합니다!
💬 마무리 한마디
경남패스는 교통비 부담 완화, 복지 사각지대 해소, 대중교통 활성화라는 효과를 동시에 실현하고 있는 경남형 교통 복지정책이에요.
- 가입만 해도 월평균 25,000원 이상의 혜택!
- 특히 고령층, 저소득층의 이동권 강화에 효과적이죠.
- 향후 광역 연계 확대와 기존 K-패스 발급률 상승이 관건인데, 이를 통해 경남 전역이 모두 누리는 혜택의 장이 되길 바라봅니다 😊